Where does the source of inspiration for painters come from and is it the manifestation of the artist’s own intuitive institution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e situation of the times? How does the work of art, as a result of and many of the discourses surrounding it, react to people who live in contemporary times and can it bring positive changes ultimately to the world we, the “hopeless generation”, live in? The exhibition ‘Why I Paint’ is the experiment to observe these perspectives.
Many artists respond more sensitively to their situation,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imes. They may be those who are instinctively sensitive not only to visual things but also to all kinds of perceptual and cognitive aspects of things. They ei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have to reflect the various aspects of society in their work. They represent the world as they receive, in forms of their own languages which can be familiar but never the same. It may be represented more frankly and clearly as the form is secret and the language is authentic. The novelist, George Orwell, talks about “four great motives for writing” in his essay ‘Why I Write.’ Excluding the purpose of making a living, the fourth motive is about politics. He says that “the opinion that art should have nothing to do with politics is itself a political attitude.” How much freedom do today’s artists have since his life has long since passed? How freely are they working on their art and expressing themselves? How freely can they talk about politics as their job has freedom? How much independence and intentions can be secured as not having to do with politics?
No artist is entirely happy with any comparison to other works of art, trends of the times or a cultural or political issue. There are some artworks that have completely different forms but similar ideas. Some artworks are similar but have entirely different intentions. There are other artworks that were created to avoid such influences but became favored and survived long throughout history. We can agree and understand what is different as we live in the same time and share history that is well spoken no matter if it is true or not. But one work of art does have unique identity. As George Orwell pointed out, in turbulent times and eras of reform, art would more reflect the situation of the times. Although, before any creation, the artist’s own emotional basis of the works is presupposed. Without it, the artist would not even have thought of walking into the path of a harsh and ruthless life of an artist in the first place. In this sense, this exhibition, Why I Paint, can be said to be an intensive illumination of two artists who chose the medium of painting as a means of expressing themselves. Painting is the oldest form of art since the beginning of mankind, and it is a form of art that can never disappear when the times change. Rather than talking about something novel or ordinary, the exhibition would like to talk about the bold brush strokes used without hesitation and the various colors and gestures that appear on the screen. They are not only manifestations of intuition that have never been dominated by consciousness, but the anxiety, depression, and also hope that is everyone has in our subconscious. We may observe the instinctive self-expression and the background through painting, which the artists may have chosen or may have been chosen by it. Furthermore, we can think about the role of art in our time, especially the possibility of painting, by understanding what they want to get through the process of their creation, what they want to solve and what the artwork as the result tells.
The artist Seung-hyun Kim’s works with typography show a unique sense of aesthetics that seems to be a play on language but does not miss the political and social meanings of words and phrases, as well as issues such as their design and visual harmony with the specific place. His installation works such as ‘Now I Understand What You Tried to Say to Me’, ‘Don’t Forget to Remember’ that were exhibited in 2014 at the Gangjeong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depicted a witty sarcasm on the harmful effect of the government’s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with a combination of words like ‘river’ and ‘remember’. More interestingly, they reminded one of a landscape painting in perfect harmony with the place Gangjeong. In other words, rather than the artwork conveying the unique harmony of the beauty that is brought by Gangjeong’s nature and the artificial beauty of contemporary typography that the artist engraves, it is likely to be felt as a painting. In addition, he wrote 'House is not a home' on the wall of a shabby house with traditional Korean roof tiles and awakened the meaning of a true 'house.’ He would also work on art that made people think about what is mainstream and subculture in our society through participatory art which was a passage of ‘Mainstream’ which the artist made and the viewers walked through. All of these series of installation works are a bit of a peculiar landscape that express the times he experiences with his unique sensibility. His latest work, 'Composition-series', made of acrylic and oil paints, is a painting that suggests a primal question about what the basis of 'painting' is. In this era that no new brushing, new visual experience is possible, what boosts creation can be a new constraint rather than a new inspiration, and the task of reacting to the constraint can be the resulting artwork. These paintings diverged from his installation works show the geometrical formality in the form of the word ‘Composition’, but in the analog production way in the word, they reveal his self-consciousness he agonizes about between life and art.
In contrast to Seung-hyun Kim, another artist Narsiso Martinez takes a form of academic sketches, paintings and expresses the scenes he has observed frankly and sincerely. The portraits and landscapes he portrays are joys and sorrows as a Mexican-born artist and a migrant worker, showing the calm of the conflicts that a large number of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have and the hopes they will not let go. He elaborately draws the figures of workers he works with in an apple farm on those abandoned apple boxes and shows that ‘painting’ is the power which sustains his life. The beautiful and lonely landscapes that he creates under the Trumpian regime, which opposes illegal immigrants more strongly, seem to be getting more and more empathy with people these days. He is calmly accusing of the class that seems to be divided openly in the American society of the symbol of freedom and the economic structure which makes it possible.
The reason for choosing these two artists who seem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form and contents is that they are likely to have a common point in constructing their own painting world in their own way. They show the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of art which means they reflect the complex times and listen to their voices at the same time through their art in different ways. As George Orwell says “Why I Write”, which always takes a serious attitude to the motive and core that are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creation, and thus titled “Why I Paint” for this exhibition, these two artists must be the most suitable for the exhibition indeed.
For those of us who live in the flood of images created by digital media, their work shows that ‘painting’, the old art form, is not a pretense but can be a new gesture of hope in their unique calm and bold manner.
Yoonkyung Kim
‘왜 그리는가(Why I Paint)’ 전은 많은 화가들이 영감으로 삼는 것의 원천이란 과연 어디에서 오는가, 그것은 시대 상황과 전혀 관계없는 예술가 자신의 온전한 직관의 발현인가, 결과로서의 작품은, 혹은 그것을 둘러싼 많은 담론들은 동시대를 사는 많은 사람들에게 어떤 반응을 불러 일으키며 궁극적으로 우리가 사는 세계에, 희망 없는 세대들에게 어떤 긍정적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는가에 관한 실험이다.
예술가들 중에는 자신이 처한 상황, 주변 환경, 그리고 시대에 대해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들이 많다. 단지 시각적인 것 들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공감각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키는 모든 것들에 본능적으로 민감해지는 사람들이 그들일 것이다. 이들은 작업을 함에 있어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사회의 여러 단면들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 오직 자신만의 언어로, 비슷할 수는 있어도 같을 수는 없는 형식으로 그렇게 자신이 감각적으로 받아들인 세상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것은 비밀스러운 형식, 고유한 언어이기에 어쩌면 더욱 솔직하고 여실히 보여진다. 소설가 조지 오웰(George Orwell)은 그의 수필, ‘왜 쓰는가(Why I write)’에서 생계 유지에 관한 문제를 제외한 글쓰기의 네 가지 주요 동기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그가 네 번째로 이야기하는 동기가 정치적인 것에 관한 것이다. 예술이 정치적인 것과 하등 관계가 없어야 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정치적이라는 것이다. 그가 살던 시대로부터 많은 시간이 흐른 지금의 예술가들은 얼마나 많은 자유를 누리고 있을까? 얼마나 자유롭게 작업하고 개인을 표현하고 있을까? 자유로운 작업이어서 얼만큼이나 자유롭게 정치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정치와 상관없어야 해서 얼만큼의 독자성이나 합목적성을 확보할 수 있을까?
어떤 예술가들도 자신의 작품에 나타나는 다른 예술 작품, 사조의 영향, 혹은 그로 인해 연상되는 사건으로의 연결에 대해서 전적으로 달갑지는 않을 것이다. 같은 내용을 이야기하는 전혀 다른 형식의 작품들이 있는가 하면 비슷한 형식을 하고 있으면서도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하는 작품들이 있고 그러한 영향을 피하려 만들게 된 작품이 오히려 역사에 남아 회자되기도 한다. 우리는 동시대를 살고 있고 진위여부를 떠난 정리된 역사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서로 공감하며 그 속에서도 같지 않은 부분들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하나의 예술작품은 고유한 정체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조지 오웰이 지적하듯 격동, 개혁의 시대일수록 예술 작품 또한 시대 상황을 더욱 많이 반영하겠지만 그러한 무언가를 만들어내기 이전에 작가가 절대로 벗어버릴 수 없는 작품에 대한 그만의 감성적 기반이 전제되기 마련이다. 애초에 그것이 없었다면 험하디 험한 예술가의 길로 들어서지도 않았을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번 전시, ‘왜 그리는가(Why I Paint)’는 자신을 표현하려는 수단으로서 ‘회화’라는 매체를 선택한 두 작가에 관한 집중적인 조명이라고 할 수 있다. 회화는 인류의 시작 이래로 가장 오래된 형식이자 시대가 변해도 결코 사라질 수 없는 형식의 예술이다. 새로움이나 구태의연함을 논하기보다 거침없이 구사하는 붓질과 그로 인해 화면에 나타나는 여러 색감, 제스처는 어쩌면 의식의 지배를 전혀 받지 않은 직관의 발현만은 아님을, 우리가 공통적으로 느끼는 시대의 불안과 우울을, 그리고 희망을 이야기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싶었다. 회화를 선택했거나 아니면 그것에 의해 선택되어진 것 일수도 있는 이들의 본능적인 자기 표현에 관해, 그 배경에 관해 탐구해보며 이들이 작업 과정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 결과물로서의 작품이 과연 무엇을 말해주는지를 이해함으로써 우리 시대의 예술의 역할, 특히 회화의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작가 김승현의 타이포그래피 중심의 작업들은 일견 언어 유희인 듯 보이는 단어와 문구들이 갖는 정치적, 사회적 의미뿐만 아니라 그들의 디자인, 설치 되어지는 특정 장소와의 시각적 조화 등의 이슈들을 놓치지 않는 독특한 미감을 보여주고 있다. 2014년 강정현대미술제에 설치된 ‘Now I understand what you tried to say to me’, ‘Don’t forget to remember’ 등은 ‘river’와 ‘remember’ 등의 단어를 합쳐서 4대강 사업의 폐해를 재치 있게 풍자함과 동시에 ‘강정’이라는 장소와 어우러진 하나의 풍경화를 떠올리게 했다. 즉, 작품을 통해 그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보다 강정의 자연이 느끼게 해 주는 아름다움 위에 그가 새기는 현대적 타이포그래피의 인공미가 더해지는, 그리하여 만들어지는 독특한 조화가 ‘그림’ 같다고 느낄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그는 이 밖에도 우리나라의 전통 기와를 가지고 있는 허름한 가옥의 담벼락에 ‘House is not a home’이라 적으며 진정한 ‘집’의 의미를 일깨우거나 ‘Mainstream’의 글씨체로 만들어진 통로 안을 관객이 드나들게 하는 참여미술을 통하여 우리사회의 주류와 비주류는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만드는 작업을 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설치 작품들은 모두 그가 체험하는 시대를 자신의 독특한 감성으로 표현해내는 조금은 생경한 풍경화이다. 아크릴과 유화 물감으로 만든 그의 최근작 ‘Composition-series’는 ‘회화’의 기본은 무엇일까에 관한 원초적인 물음을 시사해주는 회화 작품들인데, 새로운 붓질, 새로운 시각적 경험이 불가능한 이 시대를 살며 창작을 촉발하는 것은 새로운 영감보다 새로운 제약일 수 있고 그 제약에 반응하는 모습이 결과물이 될 수 있다는 작업이 주를 이룬다. 설치 작품들과는 조금은 괴리를 드러내는 이들 회화 작품은 ‘Composition’ 이라는 글씨체에 기하학적 형식미, 그러나 그 속에 있는 아날로그적 제작 방식을 드러내며 삶과 미술의 관계에 대해 고민하는 그의 자의식을 보여준다.
또다른 참여 작가, ‘Narsiso Martinez’는 김승현 작가와는 조금 대조적으로 아카데믹한 소묘와 회화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그가 본 풍경들을 솔직, 담백하게 표현하는 작가이다. 그가 그려내는 인물화와 풍경화 등은 멕시코 태생의 작가, 이주 노동자로서의 애환을 보여주며 미국 내에서 많은 수의 이민자들이 겪는 갈등, 그 속에서도 놓지 않는 희망 등을 잔잔하게 보여준다. 자신이 일하는 사과 농장의 노동자들의 모습을 아무렇게나 버려지는 사과 박스 위에 정교하게 그리며, ‘회화’는 그야말로 자신의 삶을 지탱하는 힘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작업이 주를 이룬다. 불법 이민자들을 더욱 강경하게 반대하는 트럼프 정권 하에서 그가 만들어내는 아름답고 쓸쓸한 풍경들이 근래에 들어 더욱 많은 이들의 공감을 사고 있는 듯하다. 자유의 상징이라는 미국 사회에서 너무도 공공연하게 나뉘어지는 듯한 사회 계급과 이를 가능케 하는 경제 구조를 자신만의 담담한 어조로 고발하고 있는 것이다.
형식이나 내용 면에서 많이 다른 것만 같은 이 두 작가를 선정한 이유는 이들이 독특한 방식으로 자신의 회화 세계를 구축해가는 공통점을 갖고 있으며 ‘회화’라는 장르를 통해 복잡한 시대를 반영함과 동시에 늘 자신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다는 예술의 보편성과 개별성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결국 이들 두 작가는 조지 오웰이 말하는 ‘왜 쓰는가’ 라는, 창작의 가장 중요한 동기와 핵심에 대해 언제나 진지한 자세를 취하는, 그리하여 ‘왜 그리는가’라는 제목의 전시에 가장 부합되는 작가임에 틀림없다.
디지털 미디어가 만들어내는 이미지들의 홍수 속에 사는 우리들에게 이들의 작업은 특유의 고요하고도 대담한 방식으로 ‘회화’라는 오랜 예술 형식이 결코 구태의연한 것이 아님을, 새로운 희망의 제스처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김윤경 (아트스페이스 리알티 대표)